I'm 딴데
GA내 팀의 조직이탈로 인한 연쇄적인 리스크 본문
GA의 리쿠르팅 대상은 교육시스템의 부재등의 이유로 신입보다는 경력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생명보험 또는 손해보험에서 근무하다 GA로 움직이는 경우 개인인 경우도 있으나 다수가 한 팀을 구성하여 GA로 편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GA입장에서는 조직확장을 위해 공격적으로 이러한 팀을 물색(?)하고 제안을 하기도 합니다.
일단 팀이 GA에 합류하면 인원과 실적을 동시에 성장하여 여러모로 GA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기에 조직합류는 GA의 성장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대 이러한 GA성장의 원동력인 [조직]이 GA의 성장을 멈추게 하거나 도퇴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것은 조직이탈시 감당해야 하는 GA의 리스크를 동시에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B : 사용인등록인원 감소, 실적감소, 이탈조직에 의한 GA내부의 역리쿠르팅
실효, 해지, 품보등의 계약유지관리 리스크발생→생보의 경우 유지율이 급격히 무너져 GA 전체 수수료율이낮아져 소속원들에게 피해가 전가될 수 있음
ㅁ조직이탈의 원인
GA로 움직일때 최초의 리스크(계속분, 유지계약이관등)를 감수하고 옮긴GA... 왜 또다시 다른 GA로의 이동이 발생하는 걸까요? ... 사람과 사람의 일이다보니 수많은 경우의 수가 있겠으나 대부분 수수료, 상품운영의 한계, 초기에 합의한 GA의약속 미이행, 업무지원 등등... 으로 요약해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아마도 이러한 문제는 GA입장에서는 조직을 리쿠르팅해야만 하는 절대적인 생존의 문제가 있기에... 수수료테이블이나 해당GA의 생손보 실적, GA시스템등의 설명을 일부 과장하여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오해가 발생하는것을 보여지곤 합니다.
ㅁ조직이탈의 예방과 관리
GA에서의 조직이탈은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회사의 운영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을 만큼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같은사무실에 있으면 가족이지만 다른 사무실을 사용하는 순간부터 GA시장의 적이 되는 것은 서로가 방지해야 겠습니다.
회사(GA)는 합류한 인원에 대해 반드시 보증보험과 사용인등록을 완료후 영업을 진행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보증보험은 계약유지관리의 문제로 환수금 발생과 관련하여 사용인에게 책임을 물을 수있는 가장 효과적인 안정장치입니다.
손/생보 사용인등록은 보증보험과 함께 이탈시 발생하는 민원, 해지등의 사고에 대비하여 반드시 개인코드로 영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회사(GA)는 합류하는 조직에 대하여(A단계) 회사의 시스템과 계획, 손생보실적수준, 수수료테이블, 실제 제휴보험사등에 관해 100%오픈해서 설명을 해야합니다.
'프라임에셋 > GA대리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보험대리점)의 흥망성쇠와 보험법인 대표의 선택 (1) | 2009.05.28 |
---|---|
생명보험-SM(매니저)과 팀장의 갈등구조→SM으로이직!! (1) | 2009.05.21 |
보험인의 고민-동상이몽(同床異夢) | GA실무 (1) | 2009.05.21 |
GA(보험법인대리점)의 출현과 성장배경 그리고 향후전망은?ⓣ (1) | 2009.04.23 |
GA(보험법인대리점)의 사무실이 갖는 리스크 (3) | 2009.04.23 |